본문 바로가기

에너지 인사이드

[석유탐구생활②] 역사 속 숨어있는 석유를 찾아서

다양한 모습으로 우리 생활에 도움을 주고 있는 ‘석유’는 작게는 생활용품부터 크게는 우주선까지, 우리 생활에 없어서는 안 될 꼭 필요한 존재입니다. 하지만 석유의 현재 모습만 생각하다 정작 석유가 언제부터 우리와 함께했는지와 같은 역사적인 사실들을 놓치게 되는 경우가 많은데요.


그래서 오늘은 ‘석유탐구생활’ 두 번째 시간으로 대한민국 역사와 함께한 ‘석유의 시간’에 대해 알아볼까 합니다.  



대한민국 석유의 역사


석유는 언제 처음 우리나라에 들어왔을까요?


석유가 우리의 역사 속에 처음 모습을 드러낸 것은 그리 오래전 일이 아닙니다. 1880년, 조선에서 일본으로 떠난 사절단 중 ‘이동인’이라는 승려가 처음으로 석유를 들여온 것으로 알려져 있는데요. 석유를 포함해 성냥, 램프 같은 물건들을 함께 가지고 왔고 이것이 우리나라에 처음으로 석유가 등장하게 된 계기라고 추정되고 있습니다.



석유의 대량 등장 (19세기 말) 



이후에 석유가 대량으로 들어오게 된 것은 조선이 미국과 수교를 시작하고 나서부터입니다. 이때부터 사람들은 기존에 사용하던 들깨 기름 대신 석유(정확하게는 등유)를 사용하기 시작했는데요. 들깨 기름보다 값은 저렴하면서도 더 오래 쓸 수 있었기 때문에 석유사용은 서민층까지 급속도로 확산되었습니다. 


그리고 개화가 진행될수록 자동차 수가 늘어나자 미국의 '스탠다드 오일'이 조선에 본격적으로 휘발유를 들여와 판매하기 시작했습니다. 



산업용 석유 보급의 시작 (일제강점기)



1920년대에는 스텐다드 오일의 독점을 깨고 미국의 ‘텍사스 오일’과 영국의 ‘쉘’이라는 회사가 국내에 들어와 치열한 3파전의 양상을 보이게 되었습니다. 


그러다 1930년대에는 일본이 대륙침략의 발판으로 한반도를 전쟁물자 보급기지로 활용했고, 이를 위해 직접 원산에 정유공장을 세웠습니다. 이는 결과적으로 한국에 산업용 석유를 보급하게 된 계기가 되었답니다.



서양 열강의 시장 지배 (광복 직후)



해방 이후 대한민국 정부는 대한석유저장주식회사(KOSCO)를 세워 미군의 통치에서 벗어나 직접 석유를 저장, 관리, 판매하기 시작했습니다.


이 당시 세계시장은 2차 세계대전 이후 석유산업이 비약적으로 성장하고 있었는데요. 석유화학의 발명 및 응용이 2차 세계대전을 전후로 진행되면서, 석유의 수요는 더욱 늘어만 갔습니다.


이런 세계시장의 상황은 국내에도 큰 영향을 미쳤습니다. 3대 메이저 석유 회사인 스텐다드 오일과 쉘, 그리고 칼텍스가 다시 국내 석유 시장의 판매와 유통을 전담했고 전국에 대리점을 설립함으로써 한국 시장을 지속적으로 독점하였습니다.



대한석유공사의 탄생 (1960~)



1962년 정부의 제1차 경제개발 5개년 계획이 수립되면서 석유의 안정적인 공급을 위해 국내에서 원유를 직접 수입, 가공할 수 있는 정유공장이 필요하게 됐습니다. 이에 따라 대한석유공사법 시행령이 공포되면서 '대한석유공사'의 탄생과 울산정유공장의 가동까지 이어졌습니다.



석유의 자유화, 개방화 (1990년대)



90년대에는 석유산업 관련 법안이 새롭게 제정되었습니다. 이를 통해, 정유산업이 활성화되었다는 장점과 신규 주유소가 급증하여 경쟁이 심화되었다는 단점이 동시에 대두되기도 하였는데요. 하지만 석유산업이 시장경쟁에 노출되면서 경쟁력을 높이기 위한 노력이 이어졌고, 이는 결과적으로 석유산업을 내수산업에서 수출전략산업으로 탈바꿈하게 만든 계기가 되었습니다.


지금까지 대한민국 속 ‘석유’의 시간을 함께 거닐었는데요. 역사 공부도 함께 할 수 있었던 유익한 시간이었죠?^^ 역사 속에서 우리와 함께 성장하며 소중한 에너지원이 된 석유! 석유와 함께하는 내일의 모습은 어떨지 기대됩니다. 그럼 다음 시간에도 재미있고 유익한 내용으로 찾아 오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