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에너지 인사이드

2014년 정유산업의 현황과 과제 ② 국내시장

 

 

안녕하세요. 지난번 2013년 정유산업의 현황과 과제 ①에서는 Global Market 현황에 대해서 알아봤는데요. 이번에는 국내 시장현황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2014년 정유산업의 현황과 과제 ① Global Market 바로가기 CLICK!

 

 

수요와 공급
 

석유의 수요와 공급


2013년 수급 현황

구분 

원유수입

 공급

수요

생산

수입

내수

국제 벙커링

수출

물량

915,075

1,001,992

329,315

1,331,307

826,844

51,480

429,220

1,307,544

전년비(%)

▲ 3.4

▲ 3.2

6.4

▲ 0.1

▲ 0.1

4.9

▲ 2.6

▲ 0.8

<한국석유공사(KNOC) 2013년 석유수급 동향 및 전망 자료>
 

분기별 가동률

2013년

1사분기

2사분기

3사분기

4사분기

2012년

증감

가동률(%)

86.35

78.02

80.02

82.74

81.78

84.97

▼ 3.2

<한국석유공사(KNOC) 2013년 석유수급 동향 및 전망 자료>


2013년은 국내 정유사의 대규모 정기보수, 정제마진 악화 등의 영향으로 석유의 수요와 공급 모두 전년대비 감소한 해였습니다. 또한, 석유 제품은 대형 보일러, 대형 저속 디젤 기관 등의 연료로 많이 쓰이는 벙커C유뿐만 아니라 휘발유, 등유, 경유 등 경질제품의 생산량 또한 줄어들었으며 정유공장의 가동률 또한 전년대비 감소하였습니다.

 

경질제품 수입 현황 

구분 (천 배럴)

휘발유

경유

등유

2011

 

950

417

2012

84

4,897 (515%)

211

2013

1,718

8,587 (80%)

98

 <석유공사 페트로넷>

 

2013년 석유제품의 수입은 약 3억 2,900만 배럴로, 전년대비 6.4% 증가한 수치를 기록했습니다. 국내 생산 감소 및 수입 석유제품에 대한 정부의 지원 정책이 제품 수입에 직접적인 영향을 끼친 것으로 보이는데요. 제품별로는 고도화시설 운영, 발전용 수요 증가에 따른 벙커C유(석유제품은 연산품으로 특정 제품의 생산량의 과도한 조정이 거의 불가능)와 경유 수입이 급증(정부는 석유전자상거래용으로 경유를 수입할 경우 관세 및 바이오디젤 혼합의무 면제 혜택을 부여)하였습니다. 휘발유, 경유 등 경질제품은 수입제품의 가격경쟁력이 낮아 수입이 이뤄지지 않고 있었으나 정부의 차별적 인센티브 제공에 따라 특히 경유의 경우 수입량이 전년대비 79.7% 급증하였습니다.

 

수출


 

수출

 
그간 국내 정유사들의 지속적인 투자 및 해외시장 개척 등 노력으로 석유제품은 국가의 기간 수출제품으로 큰 역할을 하고 있습니다.

 

연도별 수출 1위 품목

구분

1위

2위

3위

4위

5위

2011

선박

석유제품

반도체

일반기계

석유화학

2012

석유제품

반도체

일반기계

자동차

석유화학

2013

반도체

석유제품

자동차

석유화학

일반기계

 

 

지역별 수출 현황 

 구분 (천배럴, %)

2012년

2013년

증감

아시아

385,071

362,752

▲ 5.8

미주

31,807

31,987

0.6

유럽

19,051

23,998

26

아프리카

3,193

8,620

170

중동

1,532

1,524

▲ 0.5

 440,897

429,220

▲ 2.6

<한국석유공사(KNOC) 2013년 석유수급 동향 및 전망 자료>

 

중동지역 석유정제시설 프로젝트 현황

완공시점

국가

정유사

정제규모

2013년

사우디아라비아

아람코, 토탈

40만 배럴

2015년

UAE

ADNOC

42만 배럴

2017년

사우디아라비아

아람코 · 시노펙

40만 배럴

2018년

쿠웨이트

KPC

61.5만 배럴

2018년

사우디아라비아

아람코

40만 배럴

<매일경제신문(2013.4.18)>

 

2013년 석유제품 수출은 가동률 저하, 주요 수출국인 아시아의 성장세 둔화로 429,220천 배럴, 전년대비 2.6% 줄어들었습니다. 최대 수출지역인 아시아 수출물량이 5.8% 감소하였으며, 특히 중국은 9.8%, 인도네시아는 37.8%의 큰 폭으로 감소하였습니다. 미주지역은 항공유, 휘발유 수출이 증가했으며 유럽, 아프리카 지역은 경유 수출이 증가하였습니다.


앞으로 중동지역의 정제시설 증설 및 중국의 수출 Position 확대, 주요 수출 시장인 아시아의 경제불황이 지속될 경우 석유제품 수출에 지속해서 부정적 영향을 미칠 것으로 보입니다.

 

소비


석유 제품별 소비  

구분

(천배럴)

휘발유

등유

경유

벙커C유

 항공유

납사

LPG

기타

2012

71,765

22,009

136,725

51,624

30,206

384,606

95,473

35,253

827,679

2013

73,363

18,825

142,669

43,346

30,325

386,697

93,142

38,507

826,844

증감(%)

2.2

▲ 14.5

4.4

▲ 16.1

0.4

 0.5

▲ 2.4

9.2

▼ 0.1

<한국석유공사(KNOC) 2013년 석유수급 동향 및 전망 자료>

 

2013년 석유제품 소비는 826,844천배럴(2,265천b/d)로 전년대비 0.1% 감소하였습니다.

 

부문별 소비

구분 (천배럴)

산업

수송

가정상업

발전

공공기타

2012

477,950

265,983

44,842

22,398

16,506

827,679

2013

485,165

265,534

42,341

23,079

10,723

826,844

증감 (%)

▲ 1.5

▲ 0.2

▼ 5.6

▲ 3.0

▲ 35.0

▼ 0.1

<한국석유공사(KNOC) 2013년 석유수급 동향 및 전망 자료>


산업부문과 발전부문 소비가 전년대비 증가했지만 수송 및 가정상업용 소비는 감소하였습니다. 석유화학산업의 경기가 좋지 않았음에도 설비증설의 영향으로 산업부문 소비가 1.5% 증가하였고, 수송부문은 경유, 휘발유 소비는 전년대비 증가하였으나 LPG 소비는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가정상업부문 소비는 전년대비 5.6% 감소, 특히 도시가스 보급증가 및 전열기 사용증가로 난방/취사용 소비가 감소(LPG, 등유 소비 감소)하였습니다.

 

석유제품 가격

 

주유소 판매가격 추이

 국제 제품가 추이

 


최근 3년간 지속적인 상승세를 보였던 국내 석유제품 가격은 2013년 한 해 내림세를 유지하였습니다. 이는 기본적으로 국제 유가 및 국제 제품가격의 하향 안정화에 기인하며 국내적으로는 셀프 주유소의 확산에 따른 판매가격 안정화가 영향을 끼친 것으로 보입니다. 연간 평균 가격이 하락한 것은 2009년 이후 처음입니다.

 

경영실적

제조업 평균대비 정유사 매출액 영업이익률

 

2013년 주요기업 영업 이익률

 

정유사의 제조비용 가운데 원유 등 원재료가 차지하는 비중은 약 90% 수준으로 수익에서 유가변동과 제품가격, 환율이 변동이 가장 주요한 요인으로 작용합니다. 대량생산과 박리다매를 특징으로 하는 정유산업은 여타 제조업에 비해 영업수익성이 낮은 수준으로 정유사의 영업이익률은 제조업평균대비나 주요 기업들과 비교 시에도 낮은 수준을 보이고 있습니다.

 

2013년 정유업계 경영실적 

 구분 (억 원)

정유부문

비정유부문

합계

매출액

2013년

1,291,870

138,781

1,430,651

2012년

1,405,541

145,910

1,551,451

전년대비

▲ 8.9%

▲ 5%

▲ 7.82%

영업이익

2013년

▲ 159

16,460

16,301

2012년

▲ 4,193

21,616

17,423

전년대비

적자 전환

▲ 23.9%

▲ 6.4%

 

정유업계는 2012년 대비 매출액, 영업이익 모두 감소하였습니다. 특히 정유 부분은 전년도에 이어 영업이익의 적자를 면치 못했으며, 비정유부문의 영업이익도 감소하는 등 매우 힘든 시기를 보냈습니다. 2013년 1분기 정제마진의 상대적 강세로 실적이 개선되었으나 2분기부터 정제마진의 약세가 이어지며 실적부진이 지속되었습니다. 

 

주유국 주유소수 증감 

구분 (개)

미국

일본

독일

프랑스

 한국

 1997년

187,892

58,261

17,957

 약 15,000

 9,570

 2010년

159,006

38,777

14,379

 12,051

 13,003

 증감 (%)

▲ 15

▲ 33

▲ 20

▲ 20

35

 비고

 고점대비

50% 감소

 

 

 고점대비

70% 감소

 

 

정유업계뿐만 아니라 주유소 업계 또한 심각한 경영위기에 직면하고 있습니다. 주유소협회가 발표한 ‘2013년도 주유소 경영실태 보고서’에 따르면 주유소의 평균 영업이익은 매출액 1% 수준으로 매우 낮은 수준을 보이며 더욱이 OECD 주요 국가들은 주유소가 이미 구조조정을 통해 고점 대비 주유소가 많이 감소하였으나 한국의 경우는 지원 대책 등의 부재, 정부의 알뜰주유소 지원 정책 등으로 시장의 구조조정이 계속 지연되어 업계 전체의 경영위기가 지속 확산되고 있습니다.

 

주유소업계의 위기 지속

 

이상으로 2013년 정유산업의 현황에 대해서 알아보았습니다. 2014년에도 유가 안정화는 지속화될 것으로 전망되나 앞서 언급하였듯이 산유국 및 인도/중국의 설비증설 강화, 동남아시아의 더딘 경기회복 등으로 수출 환경은 더 악화되고 있으며 내수시장 또한 사업자간 경쟁 격화, 정부의 시장 개입, 주유소의 경쟁 강화 등으로 상황은 더욱 악화되고 있습니다.
 
정유업계 스스로 국가 기간산업으로서의 경쟁력 유지, 악화되는 수출환경 타파를 위해 노력을 기울이고 있으며 석유제품 대리점, 주유소 또한 위기 극복을 위해 노력하고 있으나 현재의 경영 위기를 타파하기에는 역부족인 상황입니다. 정부의 정책 추진방향 전환 등 거시적인 변화가 필요한 시기입니다.